
집중력 검사
아동 색 선로검사 (CCTT : Children's Color Trails Test)
아동 색 선로 검사(CCTT)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전두엽 기능 즉, 주의력(주의 전환)과 실행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신경심리검사로 연령이 어리거나 정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아동 및 특정 읽기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경우 수행 시 불이익을 미칠 수 있는 글자에 대한 의존을 피하고 수행에 미치는 언어적 영향력을 최소화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아동 색 선로 검사(CCTT)의 특징
① 성인 색 선로 검사를 모델로 하여 개발된 검사이기 때문에 평가의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② 선로 잇기 검사(TMT)의 심리측정적 원칙들을 적용함과 동시에 아동의 발달학적 체계를 고려하였습니다.
③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글자 대신 색과 숫자라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글자 대신에 색을 사용한 것은 평가 시 아동의 흥미와 동기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④ 주의력이나 초기 집행기능 장애와 같은 미세한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⑤ 언어적 지시뿐만 아니라 손모양 기호와 같은 시각적 지시 단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장애아와 같은 특정 집단에의 실시 가능성도 높였습니다.
기호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평가 영역
: 선택적 주의력, 순차적 정보처리, 인지도식의 변경, 시각적 탐색, 운동 기능 등
A형-시공간 탐색 능력과 운동 능력 등의 우반구 능력을 반영
B형-좌반구의 순차적인 배열능력을 더 잘 반영
읽기능력, 작업기억 등
스트롭 검사(Stroop Test)
Stroop 효과란
- 갈등적인 정보가 인접해 있을 때, 표적처리가 방해받는데, 이 때 표적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방해정보가 있을 때의 수행 패턴을 살펴보게 됨
- 갈등적인 정보 중 다른 한 가지를 무시하고 표적정보를 처리하는 것, 즉 억제능력을 살펴보게 됨
평가 영역 : 주의와 간섭 억제력, 주의의 분할능력, 민첩한 처리 과정의 사고, 주의, 자동화, 읽기, 의미기억 연구에 사용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평가 척도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평가 척도는 부모용, 교사용이 있으며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최근 1주일 동안 집안(학교)에서 보인 행동에 대해 체크하는 검사로, 다른 검사에 비해 손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검사와 보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