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공서 상담 프로그램
품에; 담다는 복지관, 장애인 재활센터, 양로원, 요양원 등에 맞춤형 스누젤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회 소외계층,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및 맞벌이 부부의 자녀 등 심리적 치유를 필요로 하는 계층
-경제적/사회적 소외계층의 정신건강과 심리 회복 지원 서비스
-상담을 필요로 하는 가정에 대한 심리적 지원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상담복지 실현
-사회적, 정서적 소외계층의 코로나 블루에 대한 심리방역 서비스
-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및 맞벌이 부부의 자녀 등 심리적 치유를 위한 상담을 필요로 하는 사회 소외 계층 증가
- 반면에, 상담 비용 부담이 커서 정서 소외계층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상황
- 이로 인하여, 경제적, 사회적 소외계층 아동이 가정으로부터 적절한 보호와 양육, 사회적인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고,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 인지, 학업성취, 정서 또는 행동적 측면에서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낮은 발달 수준을 보임
- 이러한 문제는 아동 뿐만 아니라, 고령자까지 다양한 연령의 사회적 약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서비스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대두됨
- 사회적 소외계층에 대한 정신건강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에 깊숙히 침투에 있는 하나의 현상이라는 인식하에 전방위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할 필요성이 제기됨
- 기존의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상담 체계는 대부분 딱딱한 의자에 앉아 대화를 하고 작품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며, 이마저도 저항이 심하거나 우울한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
- 다감각 상담 시스템은 편안하게 마련된 공간에서 음악을 듣거나 향을 맡으면서 눕거나 쉬게 하여 심신을 이완시켜줌으로써 저항과 방어를 최소화시키고 상담의 효과를 단 시간에 극대화 시킬 수 있다.
-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운동감각 등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다감각을 깨움으로써 근본적으로 동기와 에너지를 활성화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 다감각 환경의 은은한 빛은 신비함을 주게 되면서 상상력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 상상력은 우울과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원천적인 힘을 활성화시킨다.
- 맞춤형 집단 프로그램은 동 시간에 많은 사람들을 치유할 수 있으며 대인관계 능력, 사회적 능력뿐만 아니라 코로나 블루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 모든 영역에서 상담의 목표는 인간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미있는 관계 안에서 통찰이 일어나야 한다. 다감각 상담 시스템 솔루션은 심신의 안정을 바탕으로 편안한 환경에서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감각을 깨우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인식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통찰을 이끌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은 상담의 효과를 지속시키는 요인이 된다.